반응형
목차 |
1. 재무 건전성 분석 |
2. 수익성 분석 |
3. 성장성 분석 |
4. 리츠 투자자로서의 고려사항 |
5. 결론 및 투자 포인트 |
스타에스엠리츠 재무제표 분석 재무제표 분석은 주로 재무 건전성, 수익성, 성장성의 세 가지 핵심 지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아래에서 스타에스엠리츠의 연결재무제표를 중심으로 주요 재무 항목을 분석하겠습니다.
1. 재무 건전성 분석
1) 유동비율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2024년 3분기:
- 유동비율은 100% 이상이 이상적이나, 33.9%로 낮아 유동부채를 감당할 유동성이 부족합니다. 이는 단기 부채 상환에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부채비율
부채비율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100
- 2024년 3분기: 부채비율:
- 부채비율은 70.7%로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며, 이는 자본 대비 부채가 과도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3) 현금성 자산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024년 3분기 기준 3,341백만 원으로, 단기금융상품(5,487백만 원)과 함께 사용 가능한 현금성 자산이 총 8,828백만 원입니다. 단기 부채(31,500백만 원)에 비해 매우 낮아 단기 유동성 문제가 우려됩니다.
2. 수익성 분석
1) 매출 및 영업이익
매출(영업수익):
2024년 3분기 누적: 6,591백만 원 전년 대비 **7,528백만 원(2023년)**에서 감소. 이는 경기 둔화 또는 시장 경쟁 심화로 매출 성장률이 둔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영업이익:
2024년 3분기: -1,386백만 원(영업손실)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하여 영업손실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매출 감소와 함께 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2) 당기순이익
당기순이익:
2024년 3분기: -2,487백만 원(순손실) 중단영업 관련 이익이 없는 상황에서 순손실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회사의 수익 창출 능력이 감소했음을 시사합니다. 스타에스엠리츠 주가 리츠 관련주
3. 성장성 분석
1) 매출 성장률
2024년 매출(6,591백만 원)은 2023년(7,528백만 원) 대비 약 -12.4% 감소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나 특정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로 인한 성장성 둔화를 나타냅니다.
2)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 100
- 2024년 3분기: 영업이익률:
- 영업손실로 인해 이익률이 음수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용 구조에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3) EPS(주당순이익)
- 2024년 3분기 EPS는 계속영업 기준 -318원으로, 전년 동기(-58원) 대비 손실폭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주주 입장에서 배당 가능성이 낮아지고 투자 매력도가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4. 리츠 투자자로서의 고려사항
1. 긍정적 요소
- 부채비율(70.7%)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자본 구조가 과도하게 악화되지는 않았습니다.
- 투자부동산이 과거(2022년) 큰 비중을 차지했던 점을 고려하면, 장기적 수익 창출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2. 우려점
- 영업 및 당기순손실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유동성 부족 문제가 단기적으로 리스크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 매출 성장률 둔화 및 영업손실 지속은 배당 수익률을 낮출 수 있는 주요 요인입니다.
- 글로벌 경기 둔화 및 금리 상승기에 리츠의 수익성 감소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5. 결론 및 투자 포인트
- 단기적 위험: 유동성 부족 문제와 손실 지속으로 인해 단기적인 투자 매력도는 낮은 편입니다.
- 장기적 가능성: 투자부동산 및 자산 관리 효율화, 시장 회복 시 매출 반등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투자 전략: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매출 성장세 회복과 유동성 개선이 확인될 때 추가 매수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스타에스엠리츠 배당 관련 고배당 30% 그진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