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증권 경제

📐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 – 쉽게 배우는 4단계 공식!

by 골드장 2025. 5. 12.
반응형

📐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 – 쉽게 배우는 4단계 공식!

“얼마나 벌었는지는 알겠는데… 세금은 얼마나 내야 하지?” 프리랜서, 부업러, 사업자 모두 5월이 되면 머릿속을 복잡하게 만드는 종합소득세. 사실 기초 공식만 알면 계산은 surprisingly 간단합니다! 오늘은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을 4단계로 정리해서 쉽게 풀어드릴게요 😊

 


📚 목차


📊 1. 총수입금액 계산

1년간 벌어들인 모든 수입을 합산합니다.

  • 프리랜서: 원천징수영수증 / 거래내역
  • 사업자: 매출 총합 (현금 + 계좌 + 카드 + 배달앱)
  • 기타소득자: 상금, 강의료, 일시적 수입

예) 1년 매출이 4,000만 원이라면 → 총수입금액 = 4,000만 원


✂️ 2. 필요경비를 뺀 ‘소득금액’ 계산

소득금액 = 총수입 – 필요경비

  • 필요경비: 사업에 쓴 비용 (통신비, 광고비, 재료비 등)
  • 간편장부 가능자 → 간편하게 정리된 지출 인정
  • 기타소득자 → 필요경비 60% 자동 인정 가능

예) 매출 4,000만 원 – 경비 1,500만 원 = 소득금액 2,500만 원


 

🎁 3. 소득공제 & 세액공제 적용

  • 소득공제: 국민연금, 건강보험, 기부금, 신용카드 사용액 등
  • 세액공제: 근로소득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등
  • 표준공제 적용 시, 단순 계산도 가능

예) 소득금액 2,500만 원 – 공제 600만 원 = 과세표준 1,900만 원


🧾 4. 세율 적용 → 종합소득세 계산

과세표준에 따라 아래 세율표 적용!

| 과세표준 구간 | 세율 | 누진공제 | |------------------|------|------------| | 1,200만 원 이하 | 6% | - | | 4,600만 원 이하 | 15% | 108만 원 | | 8,800만 원 이하 | 24% | 522만 원 | | 1.5억 원 이하 | 35% | 1,490만 원 | | 3억 원 이하 | 38% | 1,940만 원 | | 5억 원 이하 | 40% | 2,540만 원 | | 5억 원 초과 | 45% | 3,540만 원 |

예) 과세표준 1,900만 원 → 세액: 1,900 × 15% – 108 = **177만 원**


 

📌 5. 계산 예시 정리

프리랜서 디자이너 A씨 (1인사업자)

  • 연매출: 4,000만 원
  • 경비: 1,500만 원
  • 소득공제: 600만 원
소득금액 = 4,000 – 1,500 = 2,500 과세표준 = 2,500 – 600 = 1,900 → 세액 = 1,900 × 15% – 108 = 177만 원

📎 종합소득세 계산은 복잡해 보이지만, ‘총수입 → 경비 → 공제 → 세율’의 4단계만 기억하면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요! 다음 글에서는 ‘간편장부 작성법’도 쉽게 알려드릴게요 😄

반응형